배터리(2)
-
(리포트 뜯어보기) 철강/화학 - 미·중용 배터리 메탈 슬러그: 이제 배터리의 중심에는 철강이 있다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래 링크 클릭 시 해당 위치로 이동합니다. Part I. 리튬 메탈 슬러그 Part II. 니켈 메탈 슬러그 Part III. 또 하나의 광산, LiBs 리사이클링 Part IV. 앞서고 있는 중국! 미국은? Part I. 리튬 메탈 슬러그 중국의 막강한 수산화리튬 캐파 비중은 언제까지? 배터리용 수산화리튬 수요는 증가 중 2022~23년 리튬 수요증가의 주된 요인은 전기차 배터리향 수요다. 2021년 기준, 리튬 최종수요의 74%가 이차전지 향이었으며, 이는 2025년까지 75~8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차전지에 쓰이는 리튬은 제련공정을 거친 탄산리튬과 수산화리튬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탄산리튬은 휴대폰, 노트북 같은 충전식 소용량 배터..
2022.05.22 -
(리포트 뜯어보기) 정유/화학/유틸리티/배터리 - 2022 Total Energy Solution: 차별화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 섹터를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는 산업리포트입니다. 현상황과 더불어 앞으로 유망산업도 짚어주셨기에 투자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I. Upstream 전망 Greenflation, Green bottleneck 으로 커지는 불협화음 파리기후협약 이후 세계 각국은 기후위기가 인류의 생존에 위협이 됨을 공감하고 탄소배출량 감축을 공식화하였다. 이후 온실가스배출 저감에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할 선진국인 Annex1 국가들과 기후변화 대응은 개도국들의 경제 성장을 방해하기 위함이라 주장하는 Annex2 및 기타 국가들의 서로 다른 목소리와 충돌이 이어져 왔다. COVID-19 와 맞물려 유럽을 중심으로 미국, 일본, 한국, 중국 모두 그린뉴딜에 동참했지만..
2021.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