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시장(46)
-
(리포트 뜯어보기) ‘디폴트’ 논란 보다 ‘경기걱정’이 우선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러시아發 금융시장 스트레스: 1998년(모라토리엄 선언)과 닮았나? 러시아 디폴트(채무불이행)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융 제재에 따른 혼란(?)은 예상됐지만 ‘디폴트’ 발생은 또 다른 불확실성을 키우는 듯하다. 1998년 러시아의 ‘모라토리엄(지불유예)’ 경험이 다시 거론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디폴트 (default) 민법상 채무 불이행을 의미하며, 국가부도를 의미하기도 한다. 모라토리엄 (moratorium, 지급 유예, 지불 유예, 지급 연기) 전쟁·천재(天災)·공황 등에 의해 경제계가 혼란하고 채무이행이 어려워지게 된 경우 국가의 공권력에 의해서 일정기간 채무의 이행을 연기 또는 유예하는 일을 말한다. 이 용어는 주로 주체가 국가일 때 널리 사용..
2022.03.13 -
(리포트 뜯어보기) Flight to Quality, 일단 안전운전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직 Base-line이지만 최악까지 걱정하게 하는 우크라이나 이슈 ‘Mankind must put an end to war, or war will put an end to mankind - John F. Kennedy’ 인류가 전쟁을 끝내지 않으면 전쟁이 인류를 끝낼 것이다. 틀에 박힌 전쟁명언이 새삼 와닿는 시기이다. 2월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시작된 이번 사태는 기존 베이스라인으로 보았던 돈바스 지역의 이양 수준을 넘어 수도인 키에프 공방까지 사태가 장기화될 위험이 커지고 있다. 푸틴은 핵무기 사용 가능성까지 열어두었다. 나토와 유럽의 참전이 제한되면서 사태의 심각성이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진행되지 않았지만 SWIFT까지 시행되는..
2022.03.06 -
(리포트 뜯어보기) 투자전략: 반등의 선결조건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식시장이 반등하기 위해선 통화정책, 우크라이나 등의 이슈들이 해소될 기미를 보이며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가 제어되어야 한다는 관점의 리포트입니다. 일상복귀가 부른 인플레 우려 KOSPI가 1월 급격한 가격 조정 뒤 2,700p 중반까지 반등했다. COVID-19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으로 자리 잡으면서 전 세계 COVID-19 치명률은 1.4%까지 떨어졌다. 작년 말 1.9%에서 0.5%p나 낮아졌다. 언택트(untact) 주식들이 1월 주식시장을 끌어내렸다. 인터넷, 게임, 백신 관련주를 언택트 주식으로 보면 언택트 주식들의 KOSPI200 내 비중은 작년 말 8.4%에서 7.3%까지 낮아졌다. 1년 전엔 7.6%로 오히려 낮았다. 작년 말까진 일..
2022.02.26 -
(리포트 뜯어보기) 돈(money) 권하지 않는 사회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통화정책 환수 강화로 마이너스 채권이 급격히 축소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짚어본 리포트입니다. 마이너스 채권의 감소, ‘쉬운 돈(easy money)의 시대’ 종료 연초부터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정책에 대한 민감도가 높다. 작년 연말 연준의 올해 금리인상 기대치는 2차례 50bp, 3월 인상 확률도 30% 정도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5차례 이상 125bp에 3월 한 번에 50bp 인상 확률이 40%이다. 연준 (Federal Reserve System, 연방준비제도, Fed, 페드) 미국의 중앙은행 제도이다. 1913년 12월 23일 미 의회를 통과한 연방준비법(Federal Reserve Act)에 의해 설립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연방준비제도의 ..
2022.02.13 -
(리포트 뜯어보기) 1월 FOMC: 모든 가능성에 대비하겠다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1월 FOMC에서 결정된 내용을 토대로 앞으로의 일정에 대해 살펴본 리포트입니다. 1. 1월 FOMC에서 결정된 내용 1월 FOMC에서 연준은 테이퍼링을 예정대로 3월 초에 끝내고, 3월 15~16일(현지시각) 개최되는 3월 FOMC에서 첫 번째 금리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FOMC 선언문에서 “인플레이션이 2%를 상회하고 노동시장이 강한 환경에서 곧(soon) 연방기금금리 목표를 인상하는 것이 적절하다” 는 문구의 등장이 금리인상의 임박을 직접적으로 시사하였다. FOMC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연방공개시장위원회) 12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7명은 연방준비제도이사회로부터 그리고 나머지 5명은 지역별 연방준비..
2022.02.02 -
(리포트 뜯어보기) 너무 두려워진 정상화의 무게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확대되며 연준의 정책 부담 가중되는 현상황에 대한 리포트입니다. 정책의 정상화가 아닌 실패를 걱정하기 시작하는 시장 1월 4일자 필자가 작성한 전략공감 제목은 ‘정상화의 무게, 너무 두려워 말자’였다. 올해 연준 통화정책 정상화 압력이 높아지더라도 2~3차례 기준금리 인상과 이를 진행한 이후 연준자산 축소가 가능할 것으로 전제했었다. 연준 (Federal Reserve System, 연방준비제도, Fed, 페드) 미국의 중앙은행 제도이다. 1913년 12월 23일 미 의회를 통과한 연방준비법(Federal Reserve Act)에 의해 설립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연방준비제도의 구조는 점차 커지게 되었는데, 1930년대에 발생했던 대..
2022.01.23 -
(리포트 뜯어보기) IBKS 신년호 - 2022년 11問11答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2022년 증시전망과 전략에 대해 11가지 질문과 답을 통해 풀어본 리포트입니다. 아래 링크 클릭 시 해당 위치로 이동합니다. Q1: 2022년 금융시장을 불안하게 보는 이유는? A1: 경제가 안좋아서? No. 2022년 시장이 불안한 이유는 경제가 나빠서가 아니라, 유동성 요인에 의해 확대된 금융불균형이 통화정책의 변화로 조정 압력을 받기 때문이다. Q2: 주요국 정부의 2022년 재정 정책의 교집합과 수혜 업종은? A2: 한국, 미국, 중국의 주요 재정 정책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 표와 같다. SOC 지원과 아동 관련지원, 의료 지원 세 영역이 겹치면서 수혜 업종이 될 것이다. Q3: 2022년 글로벌 주식시장에서 주목해야 할 리스크 요인은? A3:..
2022.01.08 -
(리포트 뜯어보기) 메타버스 ETF, 이젠 한국에서도 글로벌하게 투자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국내 운용사에서 출시한 글로벌 메타버스 ETF에 관한 리포트입니다. 글로벌 메타버스 ETF 4종, 12/22일 한국 동시 상장 지난주, 한국에서도 메타버스 관련 글로벌 기업에 투자하는 ETF 4종이 출시됐다. 삼성, 미래, 한국 그리고 KB 네 곳에서 각각 출시했고 KB자산운용을 제외한 3곳은 액티브 운용 방식을 선택했다. 한국의 액티브 ETF 운용 원칙은 기초지수와의 상관관계를 0.7 수준으로 맞추는 것으로 기초지수를 어떤 것으로 설정하느냐와 그 지수를 얼마나 따라갈 수 있느냐가 핵심이다. 지난 10/13일에는 이미 메타버스 관련 한국 기업에 투자하는 ETF 4종이 출시되었는데 가파른 자금 유입세를 보이며 높은 관심을 이끌어 냈다. 그러나 엔터 업종..
2022.01.02 -
(리포트 뜯어보기) 패시브 이슈 - LG에너지솔루션에 대한 패시브 솔루션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1월 상장이 예정된 LG에너지솔루션을 패시브(지수 추종) 관점에서 본 리포트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 IPO LG에너지솔루션이 내년 1/27(목)에 상장될 예정이다. 기관 수요예측은 1/11(화)~12(수) 양일간 진행되고, 1/18(화)~19(수)에 청약이 진행되어야 한다. 희망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밴드는 60.1조~70.2조원에 달한다. LG에너지솔루션 (LGES) 2020년 12월 LG화학에서 배터리 사업부문을 분할해서 설립한 기업이다. 동사 IPO에 대한 수급적 고민은 다음에서 비롯된다. 1) 공모가 상단 70조원 이상의 시가총액 도달 시 주요지수 조기편입 이슈 2) 2차 전지, 자율주행 테마 ETF의 구조적 성장을 감안할 때 리밸런싱 또는 i..
2022.01.01 -
(리포트 뜯어보기) Equity Strategy - 2022년 테마 중 하나는 '정상화'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직 코로나19 영향력에서 자유롭지 못하나 2022년 정상화에 대한 기대는 유효하며, 대형주 중심 접근이 유망할 것이란 관점에서 본 리포트입니다. 코로나 19 위기는 지속되지는 않을 듯, 정상화 측면에서 대형주 중심 접근 지난 한 해 금융시장을 돌이켜 볼 시점이다. 연초 주식시장은 백신 기대와 동학 개미들의 열광 속에서 시작했다. 하지만 국내 주식시장은 7 월 이후 부진을 면치 못했다. 대규모 IPO 부담과 중국 긴축 등이 악재로 작용했다. 뻔한 이야기지만 코로나 19 동향도 중요했다. 7~8 월 델타유행 이후 국내 주식시장은 힘을 쓰지 못했다. IPO (Initial Public Offering, 기업공개) 기업 설립 후 처음으로 외부 투자자들한테 ..
202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