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구조(2)
-
(리포트 뜯어보기) 현대차그룹 지배구조의 숨겨진 1 인치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상태로는 향후 지배력 약화가 불가피하므로 올해는 현대차그룹 지배구조 개편이 속도를 낼 거란 관점에서 본 산업리포트입니다. 1. 현대차그룹 지배구조 개편의 필요성 현대차그룹의 실질적인 지주회사 역할을 하고 있는 현대차 주주구성을 살펴보면, 현대모비스 21.4%, 정몽구 5.3%, 정의선 2.6%, 국민연금 8.0%, 자사주 6.0%, 기타 56.6% 등으로 분포되어 있다. 또한 현대차 1 대주주인 현대모비스의 주주구성을 살펴보면 기아 외 특수관계인 18.0%, 정몽구 7.1%, 현대제철 5.8%, 정의선 0.3%, 국민연금 9.5%, 자사주 3.7%, 기타 55.6% 등으로 분포되어 있다. 지주회사 (持株會社) 일반적으로 주식을 소유함으로써 다른 회사..
2022.01.30 -
(리포트 뜯어보기) 지배구조 개선의 출발점에 서다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기업분할로 인한 문제점을 짚어보고, 대통령 후보들의 공약을 통해 지배구조 개선의 가능성이 있다고 여긴 리포트입니다. Ⅰ. 지배주주 이해관계만을 위한 개편이 지배구조를 낙후시킴 1. 기업구조개편 중 분할 등에서 지배주주와 소액주주 간의 간극이 벌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음 경영자(Agent)는 정보와 경영능력을 소유한 계약당사자이고 주주(Principal)는 경영자에게 경영을 위임하게 되는데, 경영자의 이익과 주주의 이익은 항상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대리인비용(Agency cost)이 발생한다. 가령 상장기업의 경우 주주들이 모두 기업의 주인이기는 하지만 워낙 많은 숫자여서 기업을 공동으로 경영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경영자가 이들을..
2022.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