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3)
-
(리포트 뜯어보기) In-Right: 금융자산으로서의 탄소배출권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탄소배출권 또한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관련해 금융자산으로서 탄소배출권을 바라볼 필요성도 느껴지네요. ESG Comment: 금융자산으로서의 탄소배출권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배출권 거래시장 활성화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대응 노력이 이루어지면서, 탄소배출권 거래제(ETS; Emission Trading System) 역시 활성화되고 있다. 유럽의 EU ETS는 2005년 개장부터 현재의 3기 배출권 시장에 이르기까지 타 권역대비 가장 오래되고 성숙한 시장의 형태를 보이며, EU발 탄소국경조정세(CBAM; Carbon Adjustment Mechanism)의 실질적 벤치마크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ETS (Emi..
2021.12.12 -
(리포트 뜯어보기) 미국 탄소배출권 ETF 상장, 유럽과 다른 점은?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2021년 10월 5일 미국 탄소배출권에 투자하는 ETF(KCCA) 최초 상장됨에 따라 기존 유럽의 배출권거래제와 비교해본 리포트입니다. 미국, 한국 탄소배출권ETF 상장 현황 올해 유럽 탄소배출권 가격이 70% 이상 급등하고, 한국거래소에 탄소배출권ETF가 상장하며 투자접근성이 용이해짐에 따라 탄소배출권 투자에 대한 시장참여자들의 관심이 커졌다. 현재 미국과 한국에 상장된 탄소배출권ETF는 총 8개로 각각 4개씩 존재한다. 이들 ETF는 탄소배출권 선물을 기초자산으로 탄소배출권 가격을 추종하는 ETF이다. 탄소배출권 (炭素排出券, certified emission reduction, CER, 인증감축량, 공인인증감축량) CDM 사업을 통해서 온실가스..
2021.10.24 -
(리포트 뜯어보기) 탄소배출권 시장 메커니즘과 이슈 정리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유럽 탄소배출권 가격 우상향이 지속되는 가운데, 유럽 탄소배출권 ETF 국내 상장 예정으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관련해 유럽 탄소배출권의 이해와 투기적 거래에 대한 논란에 대해 살펴본 리포트입니다. 한국거래소 내 유럽 탄소배출권 ETF 출시 임박 지난 ‘Green Commodity(7/20)’ 자료를 통해 친환경 정책 모멘텀 투자전략 중 하나로 탄소배출권 ETF(KRBN, GRN)를 제시했다. 연초이후 탄소배출권 가격은 80% 이상 상승했으며, 시장 참여자들의 탄소배출권에 대한 관심은 지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탄소배출권 ETF인 KRBN은 올해에만 6.5억달러 규모의 자금이 유입됐으며, GRN은 2019년 상장 이후 자금 유출입액이 없었으나 올해..
2021.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