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뜯어보기) 우주 산업, 아폴로에서 아르테미스로

2021. 2. 11. 12:25리포트/방산ㆍ기계

반응형

ⓒ pixabay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우주 산업 관련 리포트를 소개드립니다.


ARK로 각광받기 시작한 우주 산업

1월 13일, 글로벌 ETF 운용사 ARK Invest에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Space Exploration ETF(ARKX) 상장 계획서를 제출했다. 이러한 소식이 전해지면서 Procure Space ETF, Virgin Galactic Holdings, Maxar Technologies, IntelSat, Iridium Communications 등 우주 산업 관련 ETF와 기업들의 주가는 당일에만 5.3%~19.8%까지 급등했으며, 2월 8일 기준으로는 21.0~104.1% 상승률을 기록 중이다. 국내에서도 우주 관련 기업들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단순히 새로운 ETF 출시만으로 나타난 현상으로 보기에는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ARK Invest라는 특수성이 한몫을 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이러한 흐름이 지속 가능할 것인지 가늠하기 위해서는 우주 산업 내의 변화에 대한 고민도 필요할 듯하다.

 

ARK Invest
미국의 펀드 운용회사이다. CEO 및 CIO는 Cathie Wood (Catherine D. Wood)가 맡고 있다. 코로나 19 대유행 이후로 엄청난 수익률을 올려 미국에서 핫하게 주목받는 자산운용사가 되었는데, 그 수익률이라는 게 레버리지도 걸지 않은 1 배수짜리 ETF가 나스닥 3배 레버리지인 TQQQ의 수익률과 비슷하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U.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SEC)
미국의 수사기관(준사법기관). 워싱턴 D.C에 본부가 있으며, 지부는 열한 곳에 있다.

1929년 세계 대공황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은 뒤 미국 정부가 자본시장의 질서 확립과 규제를 위해 1934년에 설치됐다. 초대 위원장은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의 아버지 조지프 P. 케네디이다.

Procure Space ETF

Virgin Galactic Holdings

Maxar Technologies

IntelSat

Iridium Communications

 

ARK Invest는 2014년 설립 직후 테슬라에 집중 투자하는 등 ‘파괴적 혁신’ 기업을 발굴하는 액티브 ETF로 유명하다. 대표 ETF인 ARK Innovation(ARKK)의 경우 지난해에만 148.7% 상승했으며, ARK Next Generation Internet(ARKW), ARK Genomic Revolution(ARKG), ARK Fintech Innovation(ARKF), ARK Autonomous Technology & Robotics(ARKQ) 등 나머지 ETF도 전부 100%가 넘는 수익률을 기록했다. 1년 전만 해도 운용자산이 35억 달러에 불과했으나, 올해 초 기준 415억 달러의 자금을 운용하고 있다. 시장에서 ARK가 가지고 있는 상징성의 배경이다.

 

액티브 ETF
지수 대비 초과수익을 목표로 하는 ETF다. 실시간 거래가 가능하며 적은 비용으로 접근 가능하다는 ETF 장점과 함께 시장 수익률 대비 초과 성과 달성을 추구하는 액티브 펀드의 특성이 결합된 상품이다.


실제로 ARK ETF에 편입되는 종목들의 성과는 좋은 편이다. 모바일게임 플랫폼 업체인 Skillz(SKLZ)는 1월 5일 ARKW에 편입되면서 21% 급등했으며, 온라인 스포츠 베팅 업체 Draftkings(DKNG)도 2월 1일 ARKW에 편입되면서 10% 이상 상승했다. 운용 자산 규모가 크다는 점에서 ETF에 편입되는 종목은 수급 측면에서 긍정적이다. 게다가 ARK ETF의 경우 보유 종목 매매 내역이 공개되기 때문에 ARK의 종목 선정, 즉 기업의 펀더멘털, 성장성에 대한 평가를 신뢰하는 투자자들이 따라서 매매를 하는 영향도 있다.

 

Skillz

Draftkings


항상 ARK의 선택이 맞는 것은 아니다. Teledyne(TDY)의 경우 1월 11일부터 ARKQ에 편입되기 시작했지만 주가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국 ETF 편입은 수급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것은 맞지만 그 자체로는 일시적 요인에 가깝고, 지속가능 여부는 결국 펀더멘털로 귀결되는 듯하다. Skillz의 주가 상승도 내셔널 풋볼 리그(NFL)과의 장기간 파트너십 계약(2/4일)이라는 기업 개별적인 호재가 더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도 있다.

 

Teledyne


내셔널 풋볼 리그 (National Football League, NFL)
미국의 프로 미식축구 협회이다. 미국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를 운영한다. NFL은 MLB, NBA, NHL와 더불어 미국의 4대 스포츠 리그 중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20년 오하이오주 캔턴에서 아메리칸 프로페셔널 풋볼 어소시에이션(American Professional Football Association)이라는 이름으로 결성되었고, 1922년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한편, 1959년, 새로운 상위 프로 미식축구 리그로 아메리칸 풋볼 리그(American Football League)가 결성되어 큰 인기를 모았으나, 1970년 아메리칸 풋볼 리그와 내셔널 풋볼 리그가 내셔널 풋볼 리그로 통합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미국 최고의 인기 스포츠로 명성이 높다. 1970년 통합 당시 26개 팀이 있었고, 현재는 32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년 9월 초에 개막해서 팀당 정규시즌 16경기를 뛰고(11주 차까지 한 번 휴식), 이듬해 1월부터는 플레이오프에 돌입하여 2월의 첫째 주 일요일에 열리는 슈퍼볼에서 우승 팀의 승부를 가린다.

 

특히 우주 관련 산업은 복잡하고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되기 때문에 투자 관점에서 접근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은 분야이다. 게다가 언제 상용화될지 알 수 없는 먼 미래의 일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에 최근 우주 관련 기업들의 주가 상승이 지나친 낙관이라고 보는 우려의 시각도 따른다. 그런데 과거와 달라진 산업 내의 트렌드 변화가 있고 상용화가 생각보다 머지않은 일이라면 다르게 볼 수 있지 않을까.


1960년대 아폴로 vs. 2020년대 아르테미스

최근 우주 산업에서 주목할 점은 과거 정부 주도의 군사, 안보, 연구 목적의 개발과는 다르게 상업적 목적으로 민간 기업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는 것이다. 올드스페이스(Old Space)와 뉴스페이스(New Space)를 구분하기도 하는데, 뉴스페이스 의 경우 민간 자본을 바탕으로 자율 경쟁을 하기 때문에 혁신적이고 위험을 감수하며 개발 속도가 빠르다는 점이 특징이다. 정부 주도의 올드스페이스는 보수적이며 위험을 회피하고 신뢰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기술 개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 것과 대비된다. Space X, Blue Origin처럼 대기업 자본을 바탕으로 탄생한 기업들이 뉴스페이스의 대표적인 예이다.

 

SpaceX (Space Exploration Technologies Corp., 스페이스X)
미국의 항공우주 장비 제조/생산 및 우주 수송 회사이다. 본사는 캘리포니아 주 호손에 위치해 있다. 우주로의 수송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고 화성을 식민지화하겠다는 목표 아래 2002년 인터넷 벤처기업 페이팔의 창업자인 엘론 머스크에 의하여 설립되었다. 설립 이래 스페이스X는 팰컨 발사체와 드래곤 우주선 시리즈를 개발해 왔으며, 둘은 상용화되어 지구 궤도로 화물을 수송하는 임무에 운용되고 있다.

Blue Origin (블루 오리진)
미국의 우주 로켓 기업이다. 2019년 세계 1위 대기업 아마존닷컴의 세계 1위 부자 제프 베조스 회장이 2000년에 설립했다.

미국의 투자은행 모건 스탠리는 "2019년은 블루 오리진, 스페이스X 등 민간 우주기업이 주도하는 ‘우주의 해(The year for space)’가 될 것"이라며, 2040년 세계 우주 시장이 1조 달러(약 112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우주에 대한 정부의 정책 변화도 관찰되고 있다. 2017년 트럼프 대통령이 1972년 아폴로 17호 이후 중단됐던 NASA의 유인 달 착륙을 승인하는 우주정책 지침 1호를 승인하면서 1993년에 폐지됐던 국가우주위원회가 부활했다. 이어 2019년 3월 국가우주위원회 위원장 펜스 부통령이 유인 달 착륙의 기한을 2024년으로 발표하고, 같은 해 5월 NASA에서 달 착륙 프로젝트의 공식 명칭을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이라고 발표했다.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2024년까지 최초의 여성 우주인을 달에 보내고, 2028년까지는 달에 지속 가능한 유인 기지를 건설하려는 계획이다. 이 계획에 따라 NASA는 SLS를 이용해서 오리온을 달로 보내고,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루나 게이트웨이를 지을 것이다. 특히 이 계획은 일부 달 탐사선의 개발을 민간에 위탁하는 등 민간 기업과 여러 국가들 간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진다.

원래는 모든 미션에 SLS를 이용하려고 했으나 NASA의 2020년 예산안에 SLS 개발 예산이 반영이 되지 않아서 2024년의 아르테미스 3호 이전의 발사에서는 팰컨 헤비, 뉴 글렌호와 같은 민간 로켓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오리온에는 착륙 기능이 없기 때문에 착륙을 위해 블루오리진의 NHLS(national human landing system), 스페이스X의 스타쉽, 다이네틱스의 DHLS(Dynetics Human Landing System)을 쓰기로 했다.

계획의 이름은 아폴로 계획에 맞춰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아폴로의 쌍둥이 누이이자 달의 여신인 아르테미스의 이름에서 따왔다.


과거 아폴로 프로젝트와 가장 큰 차이점은 민간 기업의 참여이다. 우주정거장까지는 NASA 우주선을 이용하지만 우주정거장에서 달까지 가는 것은 민간기업의 우주선을 이용한다. 지난해 9월 상원 우주위원회에서 NASA 국장은 가격과 혁신, 안전성을 두고 경쟁할 다수의 공급자를 원한다고 밝혔다. Space X, Blue Origin, Dynetics(미국 방산업체 Leidos의 자회사) 등 3개의 후보 기업은 NASA에서 각각 9억 6700만 달러를 투자받아 달 착륙선 개발을 진행 중이다. 국가 차원의 프로젝트에도 민간 기업의 참여를 장려하고 있는 것이다. 반대로 해석하면 국가의 도움으로 민간 기업들의 기술 개발이 가속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pace X와 Blue Origin의 우주 관광 및 우주 자원 개발 사업이 현실화되는 날이 예상보다 가까워질 수 있다는 의미다.

 

Dynetics
앨라배마 주 헌츠빌에 본사를 둔 미국의 응용과학 및 정보 기술 회사이다. 주요 고객은 미국 국방부, 미국 정보 커뮤니티 및 국립 항공 우주국(NASA)이다.

 



위성 산업으로 투자가 집중되는 배경은 ‘상업성’

공급(Upstream) 중심의 산업 구도에서 수요(Downstream)의 영향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 이전의 우주 산업에서는 기술의 공급이 선행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 분야에서 수요가 발생했다면, 최근에는 늘어나고 있는 민간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술 및 디바이스 개발이 중심이 되고 있다. 상업용 위성 중심으로 위성 수가 확대되고 있는 것과 인프라 중에서도 소형 위성과 발사체 분야에 투자가 집중되고 있는 점도 같은 맥락이다. GPS, 지구 관측, 원격 센싱, 데이터 통신 등 위성을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수요가 높기 때문이다.

 

결국 민간이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상업성, 즉 수익 창출이 가능한 분야를 중심으로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 핵심이다. 정부와 다르게 기업의 주된 목적은 이익 창출에 있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미래의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며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혁신적인 기술에 도전한다. 우주에 관련된 다양한 산업 중에서도 위성 산업이 주목받고 있는 배경도 상업성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우주여행 사업에 대한 시장의 반응이 뜨거운 것도 마찬가지다.

ARK Invest에서 올해 발간한 ‘Big Ideas 2021’에서도 15가지 유망 산업 중 유일하게 소개된 우주 산업은 바로 ‘궤도 위성(Orbital Aerospace)’이다. 구체적으로 전 세계의 인터넷 연결을 목적으로 하는 저궤도 위성(LEO) 사업을 제시하고 있다. ARK에서 추정한 위성 통신 서비스 시장 규모는 연간 400억 달러 규모인데, Space X의 로켓 재사용과 같은 혁신 기술로 위성을 발사하는 데 드는 비용이 급격하게 감소하면서 기업이 돈을 벌 수 있는 산업으로 변모한 것이다.

 

Big Ideas 2021
1. 딥 러닝 (Deep Learning)
2. 데이터센터의 혁신 (The Reinvention of the Data Center)
3. 가상 세계 (Virtual Worlds)
4. 핀테크 (Digital Wallets)
5. 비트코인 펀더멘털 (Bitcoin Fundamentals)
6. 비트코인: 기관 준비 (Bitcoin: Preparing For Institutions)
7. 전기 자동차 (Electric Vehicles (EVs))
8. 자동화 (Automation)
9. 자율 콜택시 (Autonomous Ride-Hailing)
10. 드론 배달 (Delivery Drones)
11. 궤도 인공위성 (Orbital Aerospace)
12. 3D 프린팅 (3D Printing)
13. 긴 염기서열 분석법 (Long Read Sequencing)
14. 다중 암 검열 (Multi-Cancer Screening)
15. 세포 및 유전자 치료: 2세대 (Cell and Gene Therapy: Generation 2)

지구 저궤도 (Low Earth Orbit, LEO)
지구의 지상에서부터 고도 2000 km까지의 인공위성 궤도를 말한다. 고도 200 km 이하에서는 지표와 너무 가까워 궤도를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속도가 너무 빨라서 물체가 연소하기 때문에 고도 200km 이하로는 궤도 형성이 불가능하다. 만약 형성하더라도 불타 없어지거나 곧 지구 표면으로 추락하게 된다. 보통 지구 저궤도라고 하면 지구 표면으로부터 200 ~ 2000 km (124 ~ 1240 마일)인 고도의 궤도를 말한다.

 

기업들의 투자가 확대되면서 머지않아 발전이 가속화되는 변곡점을 맞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소형위성의 발사 개체 수는 이전의 전망치에 미치지 못한 반면, 2021년에는 다른 모습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2021년에 발사될 것으로 밝혀진 위성 수는 2020년의 전망치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는 점에서다. Space X의 위성 통신 서비스 상용화, Virgin Galactic의 우주여행 상용화 시점도 2021년이다.

 

Virgin Galactic (버진 갤럭틱)
버진 그룹 소속의 민간 우주 기업으로, 준궤도구간의 무중력 체험 관광 사업을 하고 있다.
버진 애틀랜틱항공을 비롯한 항공사를 운영하는 재벌 그룹에서 만든 회사라서 그런지 여느 우주기업들과 추구하는 기술의 방향이 다르다. 로켓을 지상의 발사대에서 쏘아 올리는 것이 아니라 모선에 장착하고서 최대한 높은 고도에 올라간 뒤, 상공에서 쏘아 올리기 때문이다. 이런 방식으로 발사하면 지상에서 쏘아 올릴 때에 비해 공기 저항도 그만큼 덜 받고, 모선의 가속을 타고 날아갈 수 있어서 효율적이라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모선과 우주선이 이착륙하기 때문에 당연히 허브 공항을 두고 있다. 2018년까지는 모하비 공항에서 시험비행을 진행했고, 2020년부터는 뉴 멕시코에 있는 스페이스포트 아메리카에서 기체를 띄우고 있다.

 


중장기적 방향성 유효, 시간이 필요한 우주

3월 29일 출시 예정인 ARKX(ARK Space Exploration ETF)에는 1) 위성 발사, 제조, 서비스, 운영 등 위성 기업(Orbital Aerospace Companies), 2) 드론, 항공 택시, 전기 항공기 등 준궤도 비행체 기업(Suborbital Aerospace Companies), 3) 인공지능, 로봇, 3D프린팅, 에너지 저장 등 우주 산업에 적용 가능한 기술 기업(Enabling Technologies Companies), 4) 우주 활동, 농업, 인터넷, GPS, 이미지 등 관련 기술 수혜 기업(Aerospace Beneficiary Companies)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문제는 Space X, Blue Origin 등 주요 기업뿐만 아니라 우주 관련 기업은 비상장 기업이 대부분이며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 극히 제한적이라는 점이다. Space X도 수년 내 상장할 것이라는 이야기만 회자될 뿐이다. 때문에 상장된 기업들 중에서도 실질적인 수혜가 가능한 종목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 긍정적인 점은 Momentus, AST&Science 등 일부 기업들의 SPAC 합병을 통한 상장 계획에 관한 소식이 들리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점차 투자 기회는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주 산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듯하다.


 

 

 

21/02/10 메리츠증권 Analyst 박범지

 

 


 

마치며

 

이번 테슬라의 주가 상승으로 인한 ARK Invest의 행보에 미국 주가도 들썩이는 듯합니다. 물론 우리나라도 영향을 받았죠? 최근 세트렉아이나 한국항공우주 처럼요. 확실히 전과는 다르게 민간기업들도 사업에 뛰어드니 발전에 가속도가 붙는 듯합니다. 우주 산업을 전에는 허무맹랑하다고 여겼었는데 이번 코로나로 인해 산업이 급변하는 걸 지켜보니 기대감이 생기는 게 사실입니다. 나라에서 손 놓고 있는 게 아니라 지원도 하는 상황이니 시너지 효과도 있을 것 같고요. 다만 당장 큰 수익이 나는 건 아니니 조금 더 신중할 필요도 있다 여겨집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많이 배우고 갑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