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글
-
[케이칼럼] 목표주가에 대한 고찰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은 증권사 리포트를 볼 때 가장 관심을 가지는 부분은 어디인가요? 차이는 있겠지만 대부분 목표주가에 관심이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오늘은 목표주가에 대한 착각과 생각해봐야 할 점에 대해 얘기해보려 합니다. 목표주가란 무엇일까요? 목표주가는 증권사의 애널리스트가 예측한 특정 종목의 미래 주가를 말합니다. 이런 목표주가는 투자자들의 투자 지침이 되기도 하죠. 그렇다면 먼저 목표주가에 대해 흔히 하는 착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간 주로 단기간 내에 목표주가까지 도달할거라는 믿음을 가진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단기간 내에 도달하는 경우도 있지만, 아닌 경우도 많습니다. 이는 애널리스트가 목표주가를 산정하는데 여러 방식이 존재하지만,..
2021.11.14 16:54 -
[케이칼럼] 역기저효과(기고효과) 과연 올바른 용어인가?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증권사 리포트나 언론사를 통해 기저효과란 용어를 접한 분들이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기저효과의 반대말이라 칭하는 역기저효과(기고효과)에 대해 의문을 가져본 분들은 안 계신가요? 들어가기 앞서 기저와 기저효과의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저(基底) 1. 어떤 것의 바닥이 되는 부분. 2. 사물의 뿌리나 밑바탕이 되는 기초. 3. 수학 주어진 벡터 공간에 속하는 원소의 모임으로, 임의의 벡터를 그 집합에 속하는 벡터들의 일의적(一意的)인 일차 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집합. 출처 : 표준국어대사전 기저효과(基底效果, base effect) 경제 기준 시점의 위치에 따라 경제 지표가 실제 상태보다 위축되거나 부풀려진 현상. 출처 : 우리말샘 우리가 ..
2021.10.17 09:00 -
(리포트 뜯어보기)[토스(비바리퍼블리카)] 금융 최선의 금융플랫폼 투자대안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들어가기 앞서 간단히 기업에 대해 알아볼게요. [비바리퍼블리카] 기업개요 2015년 설립. 간편송금과 결제, 금융 상품 가입, 투자와 대출 서비스 등의 금융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 현재 IPO는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이 없음. 비상장 거래소에서 거래 중. 토스의 사업구조 분석과 시사점 간편송금으로 출발해 금융플랫폼으로 성장 비바리퍼블리카는 2015년 간편송금 서비스인 ‘토스’앱을 출시하면서 본격적으로 금융업(핀테크)에 진출했다. 토스의 간편송금은 공인인증서 없이도 은행의 펌뱅킹망을 활용해 상대방의 계좌나 연락처로 송금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지금은 대부분 은행이나 금융앱에서 일반화된 기술이지만 당시에는 높은 혁신성과 편의성으로 큰 인기를 누리며 단기간..
2021.09.14 14:18 -
(리포트 뜯어보기)[금호석유] NB Latex에 올인한 회사가 아니다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들어가기 앞서 간단히 기업에 대해 알아볼게요. [금호석유] 기업개요 동사는 1976년 12월 10일에 설립되었으며, 1988년 1월 22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합성고무, 합성수지, 정밀화학, 전자소재, 건자재, 에너지, 페놀유도체, 항만운영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합성고무산업은 천연고무와 유사한 성상을 지니는 합성고무상 물질 또는 고무상 탄성체가 될 수 있는 가소성 물질인 합성고무를 이용하여 타이어, 신발 등의 주원료를 생산하는 사업임. 출처 : 에프앤가이드 대만 Nantex Industry 대비 과도한 저평가 구간 화학 업종은 기본적으로 생산 규모와 원재료 통합이 경쟁력의 원천으로 작용한다. 대만 Nantex Industr..
2021.04.14 13:54 -
(리포트 뜯어보기) 철강/화학 - 미·중용 배터리 메탈 슬러그: 이제 배터리의 중심에는 철강이 있다
안녕하세요. 케이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래 링크 클릭 시 해당 위치로 이동합니다. Part I. 리튬 메탈 슬러그 Part II. 니켈 메탈 슬러그 Part III. 또 하나의 광산, LiBs 리사이클링 Part IV. 앞서고 있는 중국! 미국은? Part I. 리튬 메탈 슬러그 중국의 막강한 수산화리튬 캐파 비중은 언제까지? 배터리용 수산화리튬 수요는 증가 중 2022~23년 리튬 수요증가의 주된 요인은 전기차 배터리향 수요다. 2021년 기준, 리튬 최종수요의 74%가 이차전지 향이었으며, 이는 2025년까지 75~8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차전지에 쓰이는 리튬은 제련공정을 거친 탄산리튬과 수산화리튬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탄산리튬은 휴대폰, 노트북 같은 충전식 소용량 배터..
2022.05.22 14:08